2026강릉세계마스터즈탁구선수권대회 2026강릉세계마스터즈탁구선수권대회

대회규정

> 대회안내 > 대회규정

ITTF 규정 및 규칙

규정 (RULES)
탁구에 관한 ITTF 공식 경기 규칙 및 세계선수권, 올림픽, 패럴림픽 타이틀 대회에 대한 ITTF 규정(최신판)이 적용되며,
2026 세계마스터즈탁구선수권대회의 특별 규정이 우선 적용됩니다.
참가 자격 (ELIGIBILITY)
2026년 중 40세가 되거나 그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은 누구나 참가할 수 있습니다.
조직위원회의 요청 시, 참가자는 여권 또는 신분증을 통해 나이를 증명해야 합니다.
카테고리 및 종목 (CATEGORIES AND EVENTS)
연령대
40–44세 (1986~1982년 출생)
45–49세 (1981~1977년 출생)
50–54세 (1976~1972년 출생)
55–59세 (1971~1967년 출생)
60–64세 (1966~1962년 출생)
65–69세 (1961~1957년 출생)
70–74세 (1956~1952년 출생)
75–79세 (1951~1947년 출생)
80–84세 (1946~1942년 출생)
85–89세 (1941~1937년 출생)
90세 이상 (1936년 이전 출생자)
각 카테고리의 경기 종목
남자 및 여자 단식
남자 및 여자 복식
혼합 복식
특정 종목에 4명 미만의 참가자가 등록된 경우, 경기위원장은 해당 종목을 취소하거나 관련자 모두에게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각 선수는 단식 1개, 복식 1개, 혼합복식 1개에만 출전할 수 있습니다. 단식은 자신의 연령대에만 참가해야 하며, 복식과 혼합복식은 더 젊은 선수의 연령대에 참가합니다.
복식 파트너가 대진표상 결석한 경우, 조직위가 가능하다면 대체 파트너를 배정합니다.
두 선수 모두 출석하고 경기 가능할 경우 복식조는 변경 불가합니다. 단, 부상, 질병 또는 한 명의 결석은 마감일 이전에 한해 예외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단식 및 복식 참가 명단은 마감 직후 온라인에 공개되며, 선수는 4주 이내에 이를 확인하거나 조직위에 확인 요청을 해야 합니다. 이후에는 변경 또는 추가 등록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복식 및 혼합복식 절차 (DOUBLES AND MIXED DOUBLES PROCEDURE)
파트너 없이 복식에 등록한 선수는 조직위가 배정한 파트너를 수락해야 합니다.
조직위가 배정했거나 양측이 확인한 복식조는 참가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습니다. 단, 한 명이 참가를 취소한 경우는 예외입니다.
양측 모두가 확인한 복식조 명단은 가능한 한 빨리 온라인에 공개됩니다.
다음 유형의 참가자는 두 번째 명단에 포함되어 온라인에 게시됩니다.(연장 등록 마감일 기준 4주 이내)
파트너가 없는 참가자
복식조 확인이 되지 않은 참가자
이 명단에 포함된 선수들은 대회장 참가 등록 시작 전 5~7일 전까지 직접 복식 파트너를 정할 수 있습니다.
새로 구성된 복식조는 즉시 확인해야 합니다.
예선 조별 경기의 경우, 각 선수는 지정된 테이블에서 경기 시작 10분 전에 출석 확인해야 합니다. 한 명이 결석할 경우, 남은 파트너는 동일 또는 더 높은 연령대의 미지정 선수를 파트너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시작 시점에 새 파트너가 없으면 실격 처리됩니다.
패자부활전에서 파트너가 결석한 경우도 동일한 조건이 적용되며, 새 파트너는 경기 시작 30분 전까지 ITTF 경기담당자에게 보고되어야 합니다. 이후에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대회 운영 (ORGANISATION)
본 대회는 ITTF 공식 대회입니다.
주최자는 2026 강릉세계마스터즈탁구선수권대회 조직위원회입니다.
대회는 2026년 6월 5일부터 12일까지 강릉올림픽파크(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및 강릉아레나)에서 개최되며, 개막일 경기는 오전 9시에 시작됩니다.
경기 방식 (SYSTEM OF PLAY)
모든 단식 및 복식 경기는 5세트 3선승제로 진행됩니다.
예선은 4인 1조의 조별 리그 방식으로 운영되며, 상위 2명은 본선, 하위는 희망 시 패자부활전에 출전합니다.
3~5명이 참가한 경우, 경기위원장은 1개 조에서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동일 국가 소속 선수가 한 조에 있을 경우, 이들 간 경기가 먼저 치러져야 합니다.
본선은 토너먼트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패자부활전도 토너먼트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조별 순위 결정 방법
승리: 2점 / 경기 후 패배: 1점 / 불참: 0점
조별 순위는 기본적으로 획득한 승점 총합에 따라 결정됩니다.
조 내 두 명 이상의 선수가 동일한 승점을 획득한 경우, 그들의 상대적 순위는 해당 선수들 간의 경기 결과에 의해서만 결정되며, 필요한 범위 내에서 순차적으로 승점을 비교하여 순위를 결정합니다.
계산 과정의 어느 단계에서 일부 선수의 순위가 먼저 확정되고, 나머지 선수들 간의 동률이 계속 유지되는 경우, 이후의 순위 결정을 위해서는 이미 순위가 정해진 선수들과의 경기 결과를 계산에서 제외하고, 앞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남은 선수들 간의 순위를 결정해야 합니다.
위 절차를 모두 적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동률이 해소되지 않을 경우, 주심이 추첨을 통해 순위를 결정합니다.
추첨 (THE DRAW)
단식 예선 대진 추첨은 대회 시작 약 14일 전에 실시됩니다.
본선 및 패자부활전 대진 추첨은 각 연령 카테고리의 예선 경기가 종료된 직후 즉시 진행됩니다.
대진표 변경 또는 추가 사항이 발생할 경우, 조직위는 반드시 주심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경기 심판 (MATCH OFFICIALS)
조직위는 대회 본선 및 패자부활전의 마지막 경기 단계에 대해 국내외 심판을 배정합니다.
조별 예선에서는 경기에 출전하지 않는 조 구성원이 심판을 맡아야 합니다.
패자부활전에서는 각 경기에서 패배한 선수가, 자신이 경기를 치른 테이블에서 이어지는 다음 경기의 심판을 맡습니다.
장비 (EQUIPMENT)
ITTF 공인 탁구대, 펜스, 네트, 공을 사용합니다.
라켓의 러버(러버 시트)는 ITTF에서 승인한 제품이어야 합니다.
경기 조건 (PLAYING CONDITIONS)
경기 코트의 최소 크기는 10미터 × 5미터입니다.
라켓 러버를 부착할 수 있는 별도의 지정된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며, 경기장 내 다른 공간에서는 액체 접착제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선수의 의무 (PLAYERS’ OBLIGATIONS)
선수는 대회에 참가하기 위한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 상태를 스스로 관리해야 하며, 대회 전 정기 건강검진을 받는 것이 권장됩니다. 필요시, 선수 본인이 건강 및 상해 보험에 가입해야 합니다.
선수는 참가 조건으로 ITTF 도핑 방지 규정(ITTF 핸드북 기준)을 수용해야 하며, 의사의 처방으로 특정 약물을 복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서면 확인서를 소지해야 합니다. 위반 시 제재 여부는 조직위원회가 결정합니다.
선수는 ITTF 공식 웹사이트의 유효 목록에 따라 승인된 장비만 사용해야 합니다.
ITTF 라켓 검사 규정을 준수해야 하며, 위반 시 주심이 제재 여부를 판단합니다.
모든 선수는 대회 일정표에 지정된 시간과 테이블에서 경기를 치러야 하며, 자신의 경기 정보를 스스로 확인해야 합니다. 지정된 시간에 나타나지 않을 경우, 5분 대기 후 자동으로 실격 처리됩니다.
경기 종료 후 모든 선수는 경기 결과지를 서명하고 테이블을 떠나야 합니다.
대회 기간 중, 선수는 자신의 참가번호를 항상 휴대해야 하며, 번호는 유니폼 등판에 부착해야 합니다.
경기 중에는 물 마시는 행위에 제한이 없지만, 마실 수 있는 시점은 타올 사용 허용 시간과 동일하게 제한됩니다.
경기장 내에서는 주류 및 담배 광고가 포함된 복장을 착용할 수 없습니다.
해당 테이블에서 경기를 치르는 선수들과 1인당 1명의 코치(2개 협회 소속 복식조일 경우 각 협회당 1명씩 총 2명) 외에는 누구도 경기장 안에 들어올 수 없으며, 그 외의 선수 및 관중은 경기장 외부 또는 관중석에 있어야 합니다.
경기 간 휴식 (REST BETWEEN MATCHES)
각 선수는 두 경기 사이에 5분간의 휴식을 가질 권리가 있으며, 이는 테이블 매니저의 재량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이의제기 (APPEALS)
이의제기는 3인 배심위원회(Jury)에서 처리되며, 위원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ITTF 마스터즈 위원회 위원장 (배심위원장)
조직위원회 대표 1인
ITTF 경기부서 대표 1인
주심 또는 그 대리인은 배심위원회 회의에 발언권은 있으나 투표권은 없는 참관인 자격으로 참석할 수 있습니다.
배심위원회는 대회 운영위원회의 권한 범위 내에서 모든 항의 사항에 대해 판결할 수 있습니다.
이의제기는 오직 심판의 결정에 대해서만 가능하며, 반드시 경기 종료 직후 서면으로 제출해야 합니다. 배심위원회 위원은 누구도 대회에 선수로 참가할 수 없습니다. 항의는 반드시 조직위원회에 서면으로 제출되어야 하며, 경기 직후에만 인정됩니다.
시상 및 상장 (CEREMONIES/PRIZES)
각 연령 카테고리의 본선에서 상위 4명 또는 4개 조는 메달을 수여받습니다.
패자부활전의 우승자 및 준우승자에게는 경기 종료 직후 테이블에서 상장과 기념품이 수여됩니다.
하나의 종목이 단일 조로만 구성된 경우에는 1위부터 3위까지만 메달이 수여됩니다.
모든 참가자에게는 공식 참가증서(Championship Diploma)가 수여됩니다.
* 본 규정은 한국어 번역본이며 원문(영문) 간에 차이가 있거나 해석상 이견이 발생할 경우, 원문(영문)을 기준으로 한다.